네트워크란 ? 두 대 이상의 통신장치를 연결 한 것.
데이터 공유, 주변장치 공유, 능률적 통신, 손쉬운 백업, 자원낭비 감소 등의 이점이 있음.
1. ipconfig (리눅스 ifconfig)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[사설IP확인가능]
- 옵션
ipconfig /all : MAC주소 확인 가능
ipconfig /release : IP주소 해제 (네트워크 연결 해제)
ipconfig /renew : IP주소 갱신 (네트워크 재연결)
2. netstat
- 사용중인 port정보 (프로토콜,로컬주소,외부주소,상태 등) [공인IP확인가능]
- 옵션
netstat -a : 전체 정보 ex) ~~~ : http
netstat -n : 포트번호를 숫자로 표시 ex) ~~~ : 443
netstat -r : 라우트 정보
- 보통 netstat -an 사용
3. nslookup
- DNS조회
ex)
4. hostname
- 호스트 이름 확인 (컴퓨터의 네트워크상 이름)
5. net user
- 사용자 계정 확인
6. ping
- 상대방 호스트의 상태확인에 사용
- icmp프로토콜 사용
ex) ping 192.168.100.1
7. tracert (리눅스 traceroute)
- 네트워크 경로 확인
8. arp (address resdution protocol)
- IP주소와 MAC주소 매칭
- 옵션
arp -a : arp 캐쉬 확인
- 보통 arp -a 사용
9. route print
- 라우팅 테이블
- netstat -nt로도 확인 가능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- PORT? 프로세스들의 주소 ex)웹은 80
- DNS ? 숫자주소를 URL주소로 바꿔서 서비스 해줌.
- TTL ? 패킷수명
윈도우 128 / 리눅스,유닉스 : 64 / 통신장치 : 64or 255
(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맞음)
- 라우팅? 가장 빠른 경로 탐색
'네트워크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광역통신(WAN) / 무선 LAN (0) | 2016.08.21 |
---|---|
근거리 통신(매체 접근 방식(CSMA/CD) , 이더넷) (0) | 2016.08.21 |
LAN에서의 통신 방식(유니/브로드/멀티캐스트) (0) | 2016.08.21 |
네트워크 전송매체 (0) | 2016.08.21 |
네트워크 접속 장치 (0) | 2016.08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