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LAN

베이스밴드

 디지털

 일반

 채널 1개 - 신호1개 

 ex) 이더넷

브로드밴드

 아날로그

 크거나 먼 데이터

 다수채널 - 하나의케이블

 ex) TV

 

 

 

2. 매체 접근 방식

  - LAN에 연결 된 모든 장치는 정의된 규칙에 따름  (충돌방지)

MAC(Media Access Control, 매체 접근 제어)

 

1) 토큰제어 방식

     토큰링 방식     : 실시간 처리 요구 분야에 적합

     토큰 버스 방식 : 물지적 버스형, 논리적 링형

 

2) 경쟁방식

     CSMA/CD 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sion Detection)

       반송파          다중 접근               충돌 방지

   

    (≒LBT : Listen Befor Talk)

 

 

 

 

3. 이더넷

- LAN통신은 전부 이더넷

- 통신규약

 동축케이블

동축케이블

표준화 

10mbps

UTP표준화 

100mbps

표준화 

1Gbps

표준화 

10Gbps

표준화 

   10base-5

→10base-2

 

 이더넷

10base-T

(T=category)

 고속이더넷

케이블길이 100m로 줄어듬

 기가비트 이더넷

 

 

 

 

 

4.FDDI(Fiber Distribute Data Interface)

- 고속 연결이나 백본(기간망)으로 사용

- 광섬유 사용

[유니캐스트/브로드캐스트/멀티캐스트(IPv4)]

 

1. 유니캐스트

- 1 : 1 방식

- MAC이용 (출발지-도작지 MAC주소 확인)

 

 

2. 브로드캐스트

- 1 : 전부

- FF-FF-FF-FF-FF-FF로 도착지 주소 지정 (IP = 255.255.255.255)

- 네트워크 대역폭 차지 (자원 낭비)

- 보안에 좋지 않음

 

 

3. 멀티캐스트

- 1 : 다수

- 특정 그룹에게만 한 번에 전송(유니&브로드캐스트 단점 보완)

- 224~239.x.x.x 사용    ex)가 그룹 - 224.10.10.10

- 도착지(목적지)를 멀티캐스트로 지정하면 특정 그룹에 전송

 

 

 

 

 

[전송 방식에 따른 통신 방식]

 

- 통신 : 떨어져 있는 두 지점 간에 정보를 전송 하는 것

- 단뱡향(Simplex)           ex)아날로그TV방송, 모니터, 키보드 등

- 양방향(Duplex) :

      전이중(full-Duplex)   ex) 휴대전화

반이중(Half-Duplex)  ex) 무전기

 

 

 

 

 

[직렬&병렬 전송]

- 직렬 : 느림

- 병렬 : 빠름

'네트워크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광역통신(WAN) / 무선 LAN  (0) 2016.08.21
근거리 통신(매체 접근 방식(CSMA/CD) , 이더넷)  (0) 2016.08.21
네트워크 전송매체  (0) 2016.08.21
네트워크 접속 장치  (0) 2016.08.21
cmd 기본 명령어  (0) 2016.08.21

전송매체 ? 물리적 선로

유선전송 매체 : 동축케이블, 꼬임선(랜선), 광섬유 케이블

 

1. 동축 케이블 (Coaxial Cable)    ex) 케이블 TV

  - 꼬임선 보다 주파수, 전송속도, 전자파&외부신호 차단 ↑   

10BASE - 5 

 500m

굵음

 고가 

10BASE - 2 

 185m

 얇음 

저가

 

 

2. 꼬임선 (Twisted pair)             : 이중 나선 케이블

 STP 

  보호막 O↑

  성능 1 

  고가(피복+은박지)

FTP

  보호막 O

 성능 2

  중간(피복O)

UTP

  보호막 X

 성능 3

  저가(피복X)

- UTP : 비용저렴, 설치 용이, 1~6등급(6이 가장 빠름), 보통 5등급(100mbps)사용.

 

 

3. 광섬유 케이블 (Optical Fivercable)

  - 빛을 이용

  - 휘는 범위에 한계있음

  - 설치 복잡

  - 비쌈

  - 가장 빠름 

 

 LAN 

 (Local Area Network)   

  100m~1Km

 WAN 

 (Wide Area Network)   

  2개 이상의 LAN을 연결 / 먼 곳 연결

 CAN

 (Campus Area Network) 

  LAN보다 영역 큼

 Intranet

 (인트라넷,사설네트워크,내부망) 

  원거리도 가능, ISP까지만 연결하여 통신

 

 

1. LAN(NIC, Network Interface Card)

  - USB도 있음

  - 고유주소 = MAC주소

 

 

2. 허브(Hub)

  - 여러대의 컴퓨터 연결하는 장치

  - 렌선(=이더넷케이블,UTP)사용 각 포트에 연결

  - 단순복제 장치(전기신호반복)

  - 모든 네트워크에 전기신호 전송

  - 연결 된 갯수만큼 속도 1/n로 느려짐

 

3. 스위치(switch)

  - 대역폭 극대화 장치

  - 전송대상에게만 전송(판별은 MAC주소로)

  - 대역폭 낭비 절감(=속도↑)

  - 송/수신 같이 가능

 

 

4. 브릿지(bridge)

- 초기 Switch(스위치보다 성능,포트갯수↓)

 

 

5. 게이트웨이(gateway)

  - 종류가 다른 2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 받음

  - 서로 다른 프로토콜 통신망 간에도 변환하여 정보 전달 가능

   (LAN, PPN, PSPN 등)

  - 보통 Switch가 게이트웨어 역할 함

 

 

6. 중계기(repeater)

  - 신호 증폭

  - UTP가 100m 이상일 때 중계기를 사용하여 신호 재전송

  - 보통 Swtich가 함.

 

 

7. 라우터(router)

  - WAN의 시작점 (서로 구조가 다른 망(LAN,MAN,WAN)을 연결 할 수 있음)

  - 2가지 이사으이 네트워크 연결

  - 라우팅 테이블에서 하우팅 결정

  -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

    (home network와 internet)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- IP주소    : 32bit

          127.0.0.1 자기자신(로컬호스트)  //LAN카드 고장 확인에 유용

 

- MAC주소 : 48bit

00-00-00   -  00-00-00

제조사번호    고유번호

 

네트워크란 ? 두 대 이상의 통신장치를 연결 한 것.

데이터 공유, 주변장치 공유, 능률적 통신, 손쉬운 백업, 자원낭비 감소 등의 이점이 있음.

 

 

1. ipconfig (리눅스 ifconfig)
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[사설IP확인가능]

- 옵션    

ipconfig /all        : MAC주소 확인 가능

ipconfig /release  : IP주소 해제 (네트워크 연결 해제)

ipconfig /renew   : IP주소 갱신 (네트워크 재연결)

 

 

2. netstat

- 사용중인 port정보 (프로토콜,로컬주소,외부주소,상태 등) [공인IP확인가능]

- 옵션

netstat -a  : 전체 정보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ex) ~~~ : http

netstat -n  : 포트번호를 숫자로 표시 ex) ~~~ : 443

netstat -r   : 라우트 정보

- 보통 netstat -an 사용

 

 

3. nslookup

- DNS조회

ex)

     

 

4. hostname

- 호스트 이름 확인 (컴퓨터의 네트워크상 이름)

 

 

5. net user

- 사용자 계정 확인

 

 

6. ping

- 상대방 호스트의 상태확인에 사용

- icmp프로토콜 사용

ex) ping 192.168.100.1

 

 

7. tracert (리눅스 traceroute)

- 네트워크 경로 확인

 

 

8. arp (address resdution protocol)

- IP주소와 MAC주소 매칭

- 옵션 

arp -a : arp 캐쉬 확인

- 보통 arp -a 사용

 

 

9. route print

- 라우팅 테이블

- netstat -nt로도 확인 가능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- PORT? 프로세스들의 주소 ex)웹은 80

- DNS ? 숫자주소를 URL주소로 바꿔서 서비스 해줌.

- TTL  ? 패킷수명

윈도우 128 / 리눅스,유닉스 : 64 / 통신장치 : 64or 255

(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맞음) 

- 라우팅? 가장 빠른 경로 탐색

 

+ Recent posts